1️⃣ 숫자 목표의 함정: 왜 방향을 잃게 될까?
우리는 흔히 목표를 숫자로 세웁니다.
“한 달에 100만 원 모으기”, “3kg 빼기”, “책 20권 읽기” 같은 식이죠.
처음엔 구체적이라 동기부여가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이 숫자가 오히려 ‘압박감’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책을 20권 읽겠다고 정했는데 15권밖에 못 읽으면
“나는 실패했어”라고 느끼죠.
하지만 그 15권이 인생을 바꿀 만큼 의미 있는 독서였다면,
그건 실패가 아닙니다.
👉 숫자 중심 목표의 문제점
- 성취보다 비교를 부추김 (남보다 적게 하면 자책)
- ‘의미’보다 ‘결과’에 집착
- 목표 달성 후 공허함이 남음
이 때문에 요즘은 ‘가치 기반 목표(Value-based Goal)’가
새로운 자기계발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 가치 기반 목표란 무엇인가?
가치 기반 목표는 “내가 진짜 중요하게 여기는 삶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세우는 목표입니다.
결과보다 과정, 숫자보다 의미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 “체중 3kg 감량하기” 대신 → “건강한 몸으로 활기차게 살기”
- “월 100만 원 저축하기” 대신 → “경제적 자유를 향한 안정된 습관 만들기”
- “책 20권 읽기” 대신 → “매일 성장하는 사람으로 살기”
이렇게 표현이 바뀌면, 목표가 단순히 해야 할 일이 아니라
삶의 태도가 됩니다.
숫자가 안 맞더라도 방향이 맞다면 ‘성장 중’인 거예요.
3️⃣ 나만의 가치 찾는 3단계 질문
가치 기반 목표를 세우려면 먼저 ‘나에게 진짜 중요한 게 무엇인가’를 찾아야 합니다.
아래 세 가지 질문을 천천히 써보세요.
(1) 내가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언제였나?
→ 그 순간에는 어떤 ‘가치’가 있었나요? (자유, 성장, 관계, 평화 등)
(2) 내가 후회했던 일은 무엇인가?
→ 그 반대편에 내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있습니다.
(예: 후회 = 약속을 어김 → 내 가치 = ‘신뢰’)
(3) 내가 존경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 그 사람의 특징 속에 내가 추구하는 가치가 숨어 있습니다.
이렇게 적어보면 “내 삶의 핵심 가치 키워드”가 떠오릅니다.
예를 들어: 성장, 진정성, 자유, 배움, 건강, 안정, 관계, 창의성 등.
4️⃣ 가치 기반으로 목표 재설정하기
이제 구체적인 목표를 세워볼 차례입니다.
단, 이번에는 숫자 대신 ‘가치’를 중심에 둡니다.
예시 변환표
| 기존 숫자 목표 | 가치 기반 목표 |
|---|---|
| 책 20권 읽기 | ‘매일 배우고 성장하는 사람으로 살기’ |
| 저축 300만 원 | ‘돈을 현명하게 다루는 습관 만들기’ |
| SNS 팔로워 1천 명 | ‘사람들과 진심으로 연결되기’ |
| 체중 60kg 달성 | ‘건강하고 에너지 넘치는 하루 보내기’ |
이렇게 바꾸면, 목표 달성률이 아니라
“오늘 나는 나답게 살았는가?”로 하루를 평가하게 됩니다.
그 결과, 꾸준함이 생기고 자존감도 자연스럽게 높아집니다.
5️⃣ 가치 중심 목표를 실천하는 3가지 루틴
① 하루 한 문장으로 ‘가치 확인하기’
매일 아침, 오늘 지키고 싶은 가치를 한 문장으로 써보세요.
“오늘은 진정성을 지키겠다.”
“오늘은 배움을 선택하겠다.”
이 한 문장이 하루 방향을 정해줍니다.
② 목표 대신 ‘가치 일기’ 쓰기
오늘 내가 한 일 중 어떤 행동이 내 가치와 연결됐는지를 적어보세요.
“동료에게 솔직하게 말한 건 진정성을 실천한 것.”
“산책을 선택한 건 건강을 우선시한 것.”
작은 기록이 쌓이면 자신감으로 바뀝니다.
③ 분기마다 ‘가치 점검’ 하기
3개월마다 “지금의 나는 어떤 가치로 살고 있나?”를 점검해보세요.
숫자보다 방향 유지가 훨씬 중요합니다.
6️⃣ 목표는 ‘결과’가 아니라 ‘방향’이다
숫자 목표는 명확하지만, 때로는 우리를 조급하게 만듭니다.
반면, 가치 기반 목표는 느리지만 오래갑니다.
가치 중심의 목표는 실패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하는 과정’ 자체가 이미 목표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하루, 이렇게 물어보세요.
“나는 오늘 나의 가치를 따라 살았는가?”